디지털 매체의 생산적 이용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셜미디어는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가? 요약[1] 소셜미디어가 사회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행사하는지? 아니면 부정적 영향을 행사하는지는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긍정적일 수도 혹은 부정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셜미디어의 사회통합에 대한 영향력이 여러 가지 상황과 맥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소셜미디어가 사회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행사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어떤 정책적 개입이 필요한지에 대한 시사점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와 사회통합간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이용자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요인(소셜미디어의 작동 및 운영 방식)과 이용자 스스로가 만드는 내부 요인(이용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부 요인으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페이스북의 추천 알고리즘 무엇이 문제이며 해결방법은 없는가? 여성청소년미디어협회 조정문(safedigital@naver.com) 페이스북도 다른 소셜 미디어처럼 페이스북만의 고유한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만한 게시글이나 사진을 나에게 보내줄 뿐만 아니라 친구 혹은 그룹 및 페이지도 추천한다. 그러나 이렇게 추천하는 게시글들이나 친구들이 이용자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자극적이고 선동적 혹은 가짜 뉴스 또는 편향적인 것들로 채워질 수 있다는 비판을 많이 받아 왔다. 이러한 비판을 의식한 페이스북은 2018년 의미있는 사회 소통(Meaningful Social Interaction, MSI)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자사의 추천 알고리즘을 변경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그 결과 페이스북은 기관이나 단체가 홍보용으로 개설한 페이지의 게시물보다는 나에게.. 카카오톡 메신저 몰래 읽는 방법 카카오톡을 하다 보면 상대방이 보낸 메시지를 읽고는 싶지만 상대방에게 읽었다는 표시를 하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상대방이 직장 상사나 껄꺼러운 사람인 경우 특히 이런 경우가 있겠지요.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비행기 모드' 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카카오톡의 메신저를 확인하기 전에 스마트폰을 비행기 모드로 전환하여 메신저를 읽으면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읽었다는 표시가 가지 않는 다고 합니다. PC에서 네트워크를 차단하고 하면 똑은 같은 효과가 있겠지요. 주의할 점은 메시지 확인 후 카톡을 강제로 종료하고 난 후 '비행기 모드'를 꺼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고 카톡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비행기 모드'를 해제하면 상대에게 메시지 읽음 표시가 전달된다고 합니다. 이 방법 외도 삼성기어나 카카오 홈을 .. 이전 1 다음